R&D

끊임없는 연구개발,
흔들림 없는 글로벌 경쟁력

SCROLL
연구소 소개
  • R&D
  • 연구소 소개

연구소 목표, 비전

환경을 위한 한 걸음,
미래를 위한 도약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기술 혁신

우리는 환경을 고려한 기술 개발을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를 실현합니다.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자원 절약을 위한 솔루션을 제공하여 친환경적인
산업 생태계를 조성합니다.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연구 역량

전 세계 다양한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합니다. 시장의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국제적인 신뢰를 구축합니다.

미래 산업을 이끄는 기술력 확보

우리는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미래 산업의 핵심 기술을 선도합니다.
신기술의 탐색과 적용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산업 전반의 발전에 기여합니다

연구 활동
스크러버
고효율 가스 정화 솔루션

첨단 정화 기술로 산업 환경을 보호하며, 효율적인 에너지 운영으로 지속가능성을 실현합니다.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공정 솔루션으로 깨끗한 미래를 만들어갑니다.

연구 활동

Abatement System
  • 에너지 효율화
  • 부산물 제어
  • 촉매기술
  • 에너지 전환
  • 장비 운영 자동화
Key Factor
  • 에너지 효율화
  • 부산물 제어
  • 촉매기술
  • 에너지 전환
  • 장비 운영 자동화
주요 연구 정보
  •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에너지 세이빙 스크러버 개발

연구 개발 방향
  • 탄소 중립 넷 제로 대응을 위한 저 에너지, 고효율 스크러버 개발

주요 연구 활동
  • 산학연 연계를 통한 스크러버 운전조건 분석 및 최적화

현재 연구 성과
  • 내부 구조 및 연소기 최적화를 통한 에너지 세이빙 달성

주요 연구 정보
  • 질소산화물의 고효율 제거 기술 개발

  • 미세입자 제거 기술 개발

연구 개발 방향
  • 질소산화물 · 미세입자의 배출 기준 강화

주요 연구 활동
  • 질소산화물 발생 온도 및 위치 확인

  • 미세입자 발생 위치 별 크기 확인

현재 연구 성과
  • 오존을 이용한 질소산화물 저감 기술 확보

  • 전기집진기 통한 미세입자 저감 기술 확보

주요 연구 정보
  • 촉매를 활용한 온실가스 저감율 증가 및 에너지 사용량 저감

연구 개발 방향
  • 전 공정 대응 가능 Line-up 확보

  • 배출되는 부산물 저감 기술 확보

주요 연구 활동
  • 촉매 피독 방지 전처리 기술 개발

  • 촉매 재활용 기술 개발

현재 연구 성과
  • 스크러버 환경에서의 안정적인 촉매 활용 인자 확보

주요 연구 정보
  • 화석연료 전환 가능한 모델 개발

연구 개발 방향
  • 수소 전소 or 혼소 연소기 확보

  • 플라즈마 전환 시스템 확보

주요 연구 활동
  • 연소기 설계 및 평가

  • 플라즈마 전환 설계

현재 연구 성과
  • 수소 연소기 확보

  • 플라즈마 토치 기술 확보

주요 연구 정보
  • 스크러버 자동화 시스템 개발

연구 개발 방향
  • 데이터 기반 스크러버 자동화 시스템 구현

주요 연구 활동
  • 스크러버 후단 배출 가스 검출 평가

  • 스크러버 운영 주기 증가

현재 연구 성과
  • 실시간 가스 농도 모니터링 기술 확보

  • 스크러버 자동 클리닝 기술 확보

칠러
최적의 온도 제어 솔루션

산업 현장의 열 부하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며,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하여 운영 비용을 절감합니다.
최적의 열 관리 솔루션을 통해 장비의 수명을 연장하고 생산성 향상에 기여합니다.

연구 활동

Thermal System
  • 초저온 Chiller
  • CO₂ Chiller
  • 전기식 Chiller
  • LN2
Key Factor
  • 초저온 Chiller
  • CO₂ Chiller
  • 전기식 Chiller
  • LN2
주요 연구 정보
  • 일반 냉동 Cycle을 이용한 초저온 Cycle Pre Cooling 방식의 냉매 압축기 동력 최소화한 초저온 Chiller 개발

연구 개발 방향
  • 혼합 냉매 방식 적용 Chiller 개발

  • 냉동기 사이즈 및 열교환기 사이즈 최소화한 Compact 설계

  • 목표 온도 및 성능 달성을 위한 기술력 확보

주요 연구 활동
  • 혼합 냉매 설계 연구

    • - 냉매 블렌딩 조합 연구
    • - 다단식 열교환기 구조 설계
    • - 비례제어 팽창 밸브류 선정
  • 온도 제어 방식 연구

    • - 초저온에서 상온 영역대 사용을 위한 Mixing 방식
  • 고효율 열교환기 개발

    • - 마이크로 채널 열교환기 설계 및 적용
    • - 사이즈 최적화
  • 컴팩트성과 설치환경 최적화

    • - 소형화 및 설치 환경 최적화
현재 연구 성과
  • -60℃ / -80℃ 대용량 냉각 능력 Chiller 개발 완료

주요 연구 정보
  • 고객사의 요구사양 및 기술 트렌드에 부합하는 CO₂ 냉매 적용 Chiler 개발

연구 개발 방향
  • 파리기후협약, 키갈리개정서, F-Gas Regulation에 따른 냉매 규제에 대응하는 적정 냉매 적용 Chiller 개발

  • CO₂ 냉매 적용 Cycle에 대한 자체 기술력 확보

  • 경쟁사 대비 초격차 & 선제적 사양 대응력 확보

주요 연구 활동
  • CO₂ 냉매에 대한 Cycle 요소 기술 습득

  • CO₂ 냉매 적용 Chiller 설계

  • CO₂ 냉매 적용 Chiller 평가

현재 연구 성과
  • Fluid Temperature -10℃ 기준 3kW, 6kW, 10kW급 Chiller 개발 및 자체 기술력 확보 완료

주요 연구 정보
  • 탄소중립 시대를 이끄는 에너지 효율 혁신 기술 개발

연구 개발 방향
  • 저온 영역 High Capacity 개발

  • 차세대 에너지 고효율 제품 개발

주요 연구 활동
  • 저온 특화 열전소재 개발

  • 고용량, 고효율 SMPS 개발

  • 고효율 열교환기 개발

현재 연구 성과
  • 에너지 효율 10% 향상 달성

  • 저온공정 제품 경쟁력 확보 (N₂ Charge System)

  • 고용량, 고효율 SMPS 개발

  • PCW Smart Control System 개발

주요 연구 정보
  • 친환경 매체를 이용한 에너지 절약형 초저온 Chiller 시스템 개발

연구 개발 방향
  •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최적 제어 방안 연구

  • 초저온 환경에서 요소 부품 검증 및 설계 기준 수립

주요 연구 활동
  • 운전 조건에 따른 성능 특성 분석

  • 초저온 열교환기 설계 Data Base 구축

현재 연구 성과
  • 냉각 성능 11kW @ -90℃ 달성

액체냉각
AI 데이터센터를 위한 차세대 냉각 기술

고성능 액체냉각 기술로 발열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합니다.
지속가능한 산업 시스템 구축에 기여하며, 안정성과 친환경성을 동시에 실현합니다.

액침냉각 효율

전력사용효율지수(PUE, Power Usage Effectiveness): 데이터센터 에너지 효율성 단위

1에 가까울수록 효율적

액침냉각 1.0 ~ 1.04 수준으로 액체냉각(1.2), 공랭식(1.68) 대비 우수

액침냉각 특징

높은 공간 활용성
  • 데이터센터 공간 절약, 추가 공간 확보 용이
높은 냉각 효율
  • 액체에 담금으로써 서버의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
성능 개선 용이
  • 유체 온도 및 유량 제어 가능
  • 서버 별 성능 최적화 및 안정성 향상 가능

액침냉각 종류

1상형
2상형

액침냉각 히스토리

액침냉각 1상형 장비
액침냉각 2상형 장비
2025
05
액침냉각 1상형장비 납품
04
글로벌 데이터센터 박람회(Data Center World 2025) 참가
03
글로벌 모바일/통신 산업 박람회(MWC 2025) 참가
2024
09
액침냉각 1상형장비 납품
2023
11
유럽 에너지 산업 기술 박람회(ENLIT Europe 2023) 참가
10
액침냉각 2상형 장비 납품
05
대한민국 기계설비전시회(HVAC KOREA 2023) 참가